본문 바로가기

검은 월요일, 전세계 증시 대폭락 이유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리오넬메씨 2025. 4. 7.

트럼프의 관세 폭탄, 아시아 증시 '검은 월요일', 그 배경과 여파 총정리

 

2025년 4월, 글로벌 금융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전면적인 추가 관세’ 조치로 인해, 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시장 변동이 아니라, 경제 ‘대학살’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그 파급력은 컸습니다. 특히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수출 중심의 아시아 국가들은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발표가 왜 이렇게 큰 충격을 주었는지, 아시아 증시는 얼마나 떨어졌는지, 그리고 향후 세계 경제는 어떻게 흘러갈지에 대해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세계 수입품에 10% 관세 폭탄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5년 4월 2일, "미국 내 산업 보호와 무역 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모든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중국,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제조 거점 국가들에는 최대 46%까지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혀, 파장은 더욱 컸습니다.

아시아 증시 급락, “대학살 수준의 충격”

 

트럼프의 발표 직후 열린 아시아 주요 증시는 문자 그대로 ‘붕괴’ 수준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국가 지수 하락율
일본 닛케이 225 -7.8%
호주 ASX 200 -4.2%
한국 코스피 -5.6%
중국 상하이 종합 -7.3%
대만 가권지수 -9.7%
홍콩 항셍지수 -12.5%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도 연이어 발동되었습니다.
일본 증시에서는 장 중 8.84% 폭락하며 선물 거래가 중단됐고, 한국 코스피는 8개월 만에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

 

아시아가 유독 크게 흔들린 이유는?

 

아시아가 세계에서 가장 큰 제조 중심지인 만큼, 미국과의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 베트남은 전체 수출의 약 30% 이상이 미국으로 향하며,
  • 방글라데시는 연간 84억 달러 규모의 의류를 미국에 수출합니다.

따라서 미국 시장의 관세가 오르면, 수출 감소 → 생산 축소 → 고용 감소 →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가속화됩니다.

'골드만삭스', 'JP모건', '뱅가드'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미국과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하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미국도 흔들리는 중, 전 세계적인 패닉

 

미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 S&P 500: -5.8%
  • 다우존스: -5.3%
  • 나스닥: -6.1%

미국 주가지수들이 일제히 급락하면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악의 한 주를 보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향후 전망은? 불확실성 확대 속 전략 필요

 

현재로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추가 관세 확대 여부, 그리고 중국, EU 등 주요국의 보복 조치 수위에 따라 글로벌 시장은 더 큰 변동성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아시아 간의 무역 재편, 공급망 재구성, 외환시장 변동성 등도 계속 주목해야 할 요소입니다.

 

투자자와 소비자가 주의해야 할 시기

 

이번 트럼프 관세 발표는 단순한 정책이 아니라, 세계 경제 전반을 뒤흔드는 **‘경제 지정학적 이벤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수출 중심 국가인 한국은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이럴 때일수록,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장기적인 시각으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앞으로도 관련 뉴스와 시장 흐름을 블로그를 통해 꾸준히 전해드리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