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경선 결선 김문수 VS 한동훈, 홍준표는 정계 은퇴
국민의힘 대선 경선 결선 진출, 김문수 VS 한동훈! 마지막 라운드의 향방은?
정치의 계절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이 치열한 경쟁 끝에 마침내 마지막 두 후보를 결정했습니다. 이번 경선의 최종 결선 진출자는 바로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민의힘 경선 과정과 최종 결선의 관전 포인트, 그리고 앞으로의 변수들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의힘 경선, 최종 두 후보는 누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29일, 3차 경선에 진출할 최종 후보로 김문수, 한동훈 두 명의 예비후보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4강까지 진출했던 김문수, 안철수, 한동훈, 홍준표 네 후보 중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두 사람이 결선에 진출하게 된 것입니다.
국민의힘 경선은 1차에서는 100% 국민 여론조사로 진행되었으며, 2차 경선에서는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비율로 후보를 선발했습니다. 특히 2차 경선은 지난 27일부터 28일까지 양일간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김문수, 한동훈 후보가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습니다.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는 오는 30일 열리는 양자 토론회에서 최종 후보로서의 자질을 놓고 뜨거운 논쟁을 벌일 예정입니다. 이후 다음 달 1~2일 이틀간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로 진행되는 마지막 투표를 통해, 3일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최종 후보 1명이 선출됩니다.
결선의 관전 포인트: '탄핵 찬성파' 김문수 VS '탄핵 반대파' 한동훈
이번 결선은 단순히 후보 간의 경쟁을 넘어 당내 이념적 갈등 구도를 더욱 뚜렷하게 드러낼 전망입니다. 김문수 후보는 탄핵 찬성파를 대표하며 과거 당이 겪은 국정 혼란을 막지 못한 책임을 한동훈 후보에게 지적해왔습니다. 김 후보는 경선 토론회에서도 "대통령이 국정을 잘 수행토록 조언을 드리고 계엄을 막아야 했다"며 한 후보의 책임론을 지속적으로 강조했습니다.
이에 반해 한동훈 후보는 탄핵 반대파를 대표하며, 당이 과거의 어려움에서 벗어나 쇄신과 변화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한 후보는 특히 "이기기 위해선 계엄의 바다를 건너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지며 당의 전면적인 변화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결선의 승패는 단순히 두 후보의 개인적인 경쟁을 넘어 당의 정체성과 향후 나아갈 방향까지 결정짓는 중요한 선거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막판 변수, 한덕수 총리와의 단일화 가능성은?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확정되더라도 대선 출마가 유력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여부가 중요한 막판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덕수 총리가 대통령 출마를 공식화할 경우 국민의힘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 혹은 후보 단일화를 위한 정치적 협상이 펼쳐질 수 있어 최종 후보 결정 이후에도 정치적 불확실성이 남아 있습니다.
탈락한 후보들의 입장은?
한편, 결선 진출에 실패한 후보들은 저마다의 입장을 밝히며 향후 행보를 정리했습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경선 결과 발표 직후 정계 은퇴를 선언했습니다. 홍 전 시장은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며 "지난 30년 동안 돌봐주신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밝혔습니다. 이제 정치가 아닌 소시민으로 돌아가겠다는 입장입니다.
안철수 의원 역시 결과 발표 직후 "부족한 저를 여기까지 이끌어주신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말하며 향후 정치적 행보에 대해 여지를 남겼습니다. 안 의원은 "국민의힘이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 더욱 분발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민생과 미래 준비에 힘쓸 것을 다짐했습니다.
최종 후보 결정 임박, 앞으로의 전망은?
국민의힘 경선의 마지막 라운드는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 중 과연 누가 최종 후보로 선출될지, 또 최종 후보가 한덕수 총리와 어떤 정치적 협상을 펼치게 될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이번 결선은 국민의힘뿐 아니라 대한민국 정치 전체의 판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앞으로의 경선 과정과 최종 결과까지, 더욱 흥미진진한 정치 드라마가 펼쳐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민의힘 결선의 마지막 선택,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더욱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