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유행과 의료대란으로 도움이 필요한 고위험군 어려움 문제, 다 같이 협조하여 노력할 필요 있어
코로나19 재유행 속 정부 지원 부재와 의료대란으로 요양시설의 고군분투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인한 치료제 부족 사태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노인 환자들은 치료제를 구하기 위해 약국 10곳 이상을 찾아다도 쉽게 구할 수 없었고, 가까스로 치료제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되면서 요양시설들이 감당해야 할 부담은 극에 달했지만, 정부의 지원은 미비한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재유행과 요양시설의 현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확진자 발생 시 전담 병원으로 즉각적인 이송이 가능했으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지난해 6월, 정부는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하향 조정하고, 사회복지시설을 자율방역 체계로 전환했습니다. 이에 따라 요양시설들은 마스크 착용, 손 소독, 환기 등의 자체적인 방역 관리만 시행하면 되고, 면회나 외출·외박에 대한 제한도 없습니다.
1. 자율 방역의 부담
자율 방역 체계로 전환되면서 요양시설들은 방역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떠안게 되었습니다. 요양원 직원들은 스스로 방역 수칙을 만들어 환자들의 외출과 외박을 자제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보호자들의 협조를 얻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지침이 완화되면서 보호자들은 "나라에서도 코로나를 감기로 취급하는데 왜 엄마를 못 보게 하느냐"며 항의하기도 합니다.
이는 요양원 내부에서 사태의 심각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도 외부의 인식은 그렇지 않다는 문제점을 드러냅니다. 코로나는 특히 노인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는 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라 어르신들은 바로 약을 먹지 않으면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요양시설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하지 않으며, 치료와 방역 모두 요양시설 자체에서 감당하도록 내버려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2. 치료제 부족과 의료대란
치료제를 구하기 위한 전쟁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인해 치료제 품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정부가 뒤늦게 치료제 26만명분을 공급했지만, 요양시설 내에서는 여전히 의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치료제를 구하기 어렵고, 코로나 환자를 받아줄 병원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또한 의료대란이 장기화되면서 노인 환자들의 입원 치료도 원활하지 않습니다. 경증 환자는 병원에서 받지 않으려 하고, 요양원에서는 산소 호흡기나 주사 투약 등의 필요한 의료 조치를 제공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응급실에서도 경증이라는 이유로 노인 환자를 받아주지 않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후유증과 요양시설의 어려움
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팬데믹 동안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코로나19 재유행은 그들의 고충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요양원 환자들은 감염 취약계층으로, 한 번 감염되면 후유증이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증상이 악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1. 자발적인 방역 조치와 추가 부담
정부가 방역 체계를 자율화하면서 요양시설들은 추가적인 방역 부담을 떠안고 있습니다. 요양시설 자체적으로 진단키트를 구입해야 하지만, 진단키트 비용이 2배 이상 오르고 판매처도 줄어들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요양시설 직원들은 매일 아침 전 직원이 코로나 검사를 진행하며 감염 확산을 막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정부의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이러한 조치도 한계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2. 보호자와의 갈등
요양시설들이 외출과 외박을 제한하는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보호자들의 협조를 얻기 어렵습니다. 정부의 완화된 지침을 이유로 보호자들은 면회를 거부하는 것에 불만을 표하고, 이는 요양원 직원들과 보호자 사이의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명절 같은 특별한 시기에는 이러한 갈등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의 대응과 추석 대책
정부는 코로나19 유행이 정점을 지났다고 발표했지만, 요양시설들에서는 여전히 불안감이 가득합니다. 특히 다가오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요양시설들은 추가적인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부는 추석 연휴를 맞아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을 ‘비상 응급 대응 주간’으로 지정하고, 당직 병·의원 4,000곳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만으로는 요양시설에서 겪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해결책과 요구 사항
1.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성
요양시설들은 의료대란과 코로나19 재유행 속에서 고립된 상태입니다. 정부의 지침이 완화되었지만, 이러한 조치가 요양시설들에게는 오히려 더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요양시설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코로나19 재유행 상황에서도 의료와 방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진단키트와 치료제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 확진자 발생 시 신속한 의료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2. 사회적 인식 개선과 협조
또한 보호자와 환자들이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요양시설의 방역 조치에 적극 협조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명확한 지침과 권고가 필요합니다. 요양시설 직원들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해야 합니다.
코로나19 재유행과 함께 요양시설은 여전히 감염 확산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자율 방역 체계 속에서 스스로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하는 현실은 요양시설과 그 직원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정부는 요양시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하고, 의료 시스템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사회 전체의 협조가 필요하며, 요양시설과 보호자 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