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럼프의 ‘25% 자동차 관세’ 4월 2일부터 실시,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이?

리오넬메씨 2025. 3. 28.

트럼프의 ‘25% 자동차 관세’ 강행, 세계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파장은?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세계 무역 판을 흔드는 강수를 뒀습니다. 바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건데요. 이 관세는 완성차는 4월 2일부터, 부품은 5월 이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조치가 미국 자동차 산업의 '엄청난 성장'을 이끌고, 미국 내 제조업과 일자리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업계와 전문가들의 반응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습니다.

자동차 수입에 ‘세금 폭탄’, 누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까?

 

현재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수입국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 미국은 전체 판매량의 절반에 가까운 약 800만 대의 자동차를 수입했으며, 무역 규모는 2400억 달러(한화 약 351조 원)에 달했습니다.

미국의 최대 자동차 수입국은 멕시코이며, 한국, 일본, 캐나다, 독일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의 자동차 산업은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트럼프의 이번 관세 부과는 곧 직격탄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 자동차 회사들도 '불똥', 부품값 상승으로 인한 생산 차질 우려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들 역시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제너럴 모터스, 포드, 스텔란티스와 같은 미국 업체들은 멕시코와 캐나다 등지에 부품 공급망과 생산라인을 구축해왔기 때문이죠.

미국 자동차 산업은 단순 조립이 아닌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한 복합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관세가 부과되면 차량당 평균 4000~1만 달러까지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이는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 → 수요 감소 → 생산 차질로 이어져, 미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동맹국과의 외교 갈등 영국, 캐나다, EU ‘강한 유감’

 

트럼프의 관세 조치는 동맹국들과의 외교 마찰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 영국: 재규어 랜드로버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미국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깊은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 캐나다: 마크 카니 총리는 “직접적인 공격”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 유럽연합(EU):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관세는 세금이며, 소비자에게는 최악”이라며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자동차 공급망은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얽혀 있는 만큼, 단일국의 일방적인 조치는 곧 국제무역 체계 전체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랜드로버와 르노

한국도 예외 아냐, 현대차 210억 달러 대미 투자 발표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현대자동차는 관세 발표 직전 미국에 2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루이지애나주에 제철소를 설립하고 전기차 생산 확대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해 관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선제 대응’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발표에 대해 “관세가 매우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신호”라며 반색했습니다.

관세는 미국 산업을 보호할까, 고립시킬까?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 조치가 미국 제조업을 부활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오히려 이 같은 보호무역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 붕괴, 소비자 부담 증가, 수출국과의 무역 보복 가능성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미국 소비자들은 더 비싼 자동차를 사야 하고, 동맹국과의 신뢰는 흔들리며, 자동차 기업들은 물류 혼란과 생산비 급등이라는 삼중고를 겪게 될 수 있습니다.

 

세계 자동차 산업, 격랑 속으로

 

트럼프의 25% 자동차 관세 조치는 단순히 세금 문제가 아닌 국제무역, 외교, 산업 구조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폭탄 선언입니다. 보호무역과 국가이기주의가 세계 질서를 뒤흔드는 시대, 과연 이번 조치가 미국 경제의 활로가 될 수 있을지, 아니면 글로벌 자동차 산업 전체를 흔드는 도화선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