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럼프의 관세 전략 변화, 스마트폰·반도체는 예외

리오넬메씨 2025. 4. 14.

트럼프의 관세 전략 변화, 스마트폰·반도체는 왜 예외가 됐을까?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다시 긴장과 완화를 오가고 있습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145%에 달하는 관세 폭탄을 예고한 가운데, 스마트폰과 반도체 같은 핵심 전자제품은 관세 적용 대상에서 전격 제외된 사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무역 정책의 변화가 아닌, 미국과 글로벌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이슈입니다. 블로그 독자 여러분께서 이해하기 쉽도록 이번 사안을 상세히 풀어드릴게요.

관세 전쟁의 중심에 선 트럼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중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우며 중국을 겨냥한 전방위적인 관세 정책을 펼쳤습니다. 중국이 미국 기술을 탈취하고, 무역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주장과 함께,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죠.

그러나 이번에는 조금 다른 모습입니다. 지난 9일에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과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고, 이어 11일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등을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렇다면 왜 트럼프는 그토록 강조하던 관세를 일부 유예하거나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을까요?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왜 빠졌나?

 

1. 미국 소비자 보호 차원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 증가에 대한 우려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의 87%가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입니다. 여기에 100% 넘는 고율 관세가 붙는다면 아이폰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미국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기업 실적에도 악영향을 끼치죠.

트럼프 역시 이를 의식한 듯, 애플의 아이폰과 같은 필수 전자기기에 대해서는 관세 적용을 유예하는 쪽으로 선회한 것입니다.

2.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고려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대만 반도체 기업) 등 글로벌 IT 기업들도 숨통이 트이게 됐습니다. 이들 기업은 대부분 중국 내 공장을 운영하거나 부품 공급망을 중국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고율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전 세계적인 공급망에 혼란이 생길 수 있었죠.

트럼프의 유화적인 발표는 글로벌 IT 공급망 전체를 보호하려는 현실적인 결정으로도 해석됩니다.

3. 미국 내 기업들의 로비와 대응

애플, 델, HP 등 미국 대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강력하게 반발해왔습니다. 애플은 관세 충격을 우려해 전세기를 동원해 제품을 미국으로 조기 운송하기까지 했죠. 이러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로비가 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미중 협상, 완화 국면인가?

 

트럼프는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시진핑과 잘 지낸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며 대중 협상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이는 고조되던 무역전쟁에 다소 숨통이 트이는 분위기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백악관 대변인은 “반도체·스마트폰 생산을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무역확장법 232조를 언급했어요. 이 법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수입품에 대해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법입니다.

즉, 지금은 예외를 두었지만 언제든 다시 관세 부과가 재개될 가능성도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정리하면?

 

  •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최대 145% 관세를 예고했지만,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등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 이유는 소비자 가격 급등 방지, 글로벌 공급망 안정, 기업 로비 등 현실적인 고려.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 그러나 무역확장법 232조를 이용한 향후 관세 부과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음.

 

앞으로의 전망

 

현재의 관세 제외는 일시적 유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트럼프가 14일에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힌 만큼, 전자제품 외 다른 산업에 대한 관세 강화 조치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중국과의 무역 협상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관세 정책은 언제든지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기업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도 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관련 소식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